Skip to main content

R&D 방점 ‘한국형 ODA’…”우리만 할 수 있는 게 있다”

[인터뷰] 라이트재단 김한이 대표, 이화여대 강민아 교수
근거 기반한 R&D 지원…"보건의료기술 공공재로"
"한국, 수혜국→공여국 경험, ODA 분야에서 강점"

한국이 국제 사회에서 영향력이 커질수록 공적개발원조(ODA)를 통한 국제 보건에 기여할 것이라는 기대도 커지고 있다. 한국은 국제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주는 나라가 된 유일한 국가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제는 ‘새로운 ODA 방식’을 제안하며 변화를 꾀하고 있다.

단순히 자금을 지원했던 기존 ODA 방식에서 벗어나 연구개발(R&D), 기술 이전, 역량 강화, 파트너십 등을 통해 새로운 시너지를 창출하는 데 중점을 두는 것이다. 이런 모델을 발전시키는 데 앞장선 곳이 국제보건기술연구기금(Research Investment for Global Health Technology Foundation, 이하 ‘라이트재단’)이다. 라이트재단은 지난 2018년 7월 보건복지부, 빌앤멜린다게이츠재단, 국내 생명과학기업 등이 민관협력으로 설립한 비영리 재단법인이다.

라이트재단은 재정 지원과 최첨단 R&D를 결합해 시너지를 극대화한다. 이같은 방식이 성과를 내면서 국제 보건 분야 ODA가 양적인 측면뿐 아니라 질적으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청년의사 자매지 ‘Korea Biomedical Review(KBR)’는 라이트재단 김한이 대표, 이화여대 행정학과 강민아 교수와 함께 한국의 ODA 분야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자리를 마련했다. 인터뷰는 청년의사 박재영 편집주간이 진행했다.

(왼쪽부터)라이트재단 김한이 대표, 이화여대 행정학과 강민아 교수는 라이트재단의 공적개발원조(ODA) 방식에 대해 설명했다(ⓒ청년의사).

박재영: 라이트재단은 매우 독특한 방식으로 운영된다고 들었다. 라이트재단이 지향하는 ODA 방식은 무엇인가.

김한이: 라이트재단이 설립되기 5년 전 일본 정부가 글로벌헬스기술진흥기금(GHIT)을 운용한 방식을 벤치마킹했다. 바로 정부 ODA 자금을 활용해 세계적인 공중 보건 향상에 기여한다는 목표로 진행하는 연구를 지원하는 것이다. 라이트재단의 목표는 GHIT와 조금 다르다. 특히 한국은 세계 최빈국에서 공여국으로 빠르게 전환한 비교적 ‘젊은’ 공여국인 만큼 이런 경험을 살린 독특한 방식 가능하다.

지난 2018년 라이트재단을 설립했을 때 한국은 ODA에 대한 기여를 꾸준히 늘리겠다는 의지와 함께 R&D 분야에서 역량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국제적으로 인정 받았다. 이에 재단 설립을 계기로 금전적 지원을 넘어 국가 특성을 활용해 국제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했다.

한국은 현재 R&D 역량과 강력한 공중보건체계를 갖췄지만 한때 가난과 식민지배를 경험한 역사도 갖고 있다. 이런 독특한 배경은 한국이 보건의료기술을 시장에서 사고파는 상품이 아닌 ‘국제적 공공재(Global Public Goods)’로 개발하고 제공하는 데 기여하는 강력한 원천이 될 수 있다. 공중보건과 건강 형평성의 가치에 기반을 둔 혁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