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약업신문 개제
한국의 강점과 혁신을 활용해 국제보건을 위협하는 소외감염병 대응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국제보건 연구지원플랫폼 글로벌헬스기술연구기금 ‘라이트펀드’(RIGHT Fund)가 올해 새롭게 17개 연구에 대한 지원을 시작했다.
라이트펀드는 보건복지부와 빌앤멜린다게이츠재단, 한국 생명과학기업 8개사(SK바이오사이언스, LG화학, GC녹십자, 종근당, 제넥신, 바이오니아, 유바이오로직스, 에스디바이오센서) 공동 출자로 형성된 기금을 한국의 우수한 보건의료 기술력을 활용할 수 있는 감염병 대응 기술 개발 연구에 투입하는 독특한 성격의 국제보건연구기금이다.
한정된 자원을 활용해 최대한의 효과를 이끌어내려는 민관협력 국제보건연구기금 성공 전략에 따라 라이트펀드는 저개발국 감염병 문제 해결에 한국의 강점과 혁신이 활용된 우수한 기술 개발 연구를 발굴해 지원하는 것이다.
올해 라이트펀드가 지원을 시작한 17개 감염병기술 개발 연구 중에는 ‘AI 기반 코로나19 흉부 X-ray 진단 보조 기술 개발 연구’가 있다. 뷰노가 주도하는 이 연구 프로젝트에 어떤 강점 기술이 담겼고, 앞으로 이 기술이 어떤 방식으로 고도화 돼 국제보건 문제에 활용될지 뷰노 정규환 CTO를 만나 들어봤다.
△라이트펀드 지원으로 AI 기반 코로나19 흉부 X-ray 진단 보조 기술을 개발한다고 들었다. 구체적으로 어떤 기술인가.
– 뷰노는 신종 코로나19, 폐결핵, 폐렴 등 호흡기 감염병 진단에 도움을 주는 인공지능(AI) 기반 흉부 X-ray 진단 보조 솔루션을 고도화하는 기술을 개발하려 한다. 이 연구 기반인 뷰노메드체스트 엑스레이는 인공지능을 활용해 수초 만에 경화, 간질성 음영, 흉막 삼출, 결절 등 흉부X-ray 영상에서 관찰되는 다섯가지 주요 이상 소견을 높은 성능으로 탐지하고, 병변 부위를 정확히 제시해 의료진 판단을 돕는다.
이 기술은 폐결핵이나 폐렴 관련 진단에 도움을 주는 주요 소견을 포함해, 다양한 폐질환을 높은 정확도로 탐지한다는 사실을 다수 연구를 통해 입증했다. 이번 연구에서 뷰노는 이 솔루션을 코로나19와 같은 호흡기 감염병에 더욱 최적화하고, 다인종 데이터에 대한 성능을 검증함으로써 전 세계에 활용될 수 있는 기술로 개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