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약업신문 게재
한국의 강점과 혁신을 활용해 국제보건을 위협하는 소외감염병 대응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국제보건 연구 지원 플랫폼 글로벌헬스기술연구기금 ‘라이트펀드’(RIGHT Fund)가 올해 새롭게 17개 연구에 대한 지원을 시작했다.
라이트펀드는 보건복지부와 빌앤멜린다게이츠재단, 한국 생명과학기업 8개사(SK바이오사이언스, LG화학, GC녹십자, 종근당, 제넥신, 바이오니아, 유바이오로직스, 에스디바이오센서) 공동 출자로 형성된 기금을 한국의 우수한 보건의료 기술력을 활용할 수 있는 감염병 대응 기술 개발 연구에 투입하는 독특한 성격의 국제보건연구기금이다. 한정된 자원을 활용해 최대한의 효과를 이끌어내려는 민관협력 국제보건연구기금 성공 전략에 따라 라이트펀드는 저개발국의 감염병 문제 해결에 한국의 강점과 혁신이 활용된 우수한 기술 개발 연구를 발굴해 지원한다.
올해 라이트펀드가 지원을 시작한 17개 감염병 기술개발 연구 중에는 ‘A형 간염 백신의 소형 저가 공정기술 개발 연구’가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와 벨기에 유니버셀이 공동 연구하는 이 연구 프로젝트에 어떤 강점 기술이 담겨 있는지, 이 연구 프로젝트 결과물이 국제보건을 위해 어떻게 활용될지 SK바이오사이언스 Viral Vaccine팀 이건세 팀장을 만나 들어봤다.
∆ 라이트펀드 지원으로 A형 간염 백신의 소형 저가 공정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어떤 연구인가
-세계 공중보건 증진을 목표로 개발도상국 감염병 문제 해결을 위한 라이트펀드 연구 지원 과제 중 하나로, A형 간염 백신 기반 고효율 백신 생산 플랫폼을 개발하는 연구 프로젝트다.
기존 A형 간염 바이러스 배양 및 정제 공정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고효율 생산시스템을 도입해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공정 기술인 low-footprint와 low-cost 공정 모델 및 생산 플랫폼을 개발하는 것이 이 연구 목적이다. 이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되는 백신 생산 플랫폼은 A형 간염 백신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감염병에 대한 백신 개발로 확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이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궁극적으로 고효율 백신 생산 플랫폼을 구축해 저가 백신을 대량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라이트펀드가 추구하는 가치인 저개발국가에서의 감염병 예방과 국제보건 증진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이 연구에서 SK바이오사이언스는 안전성과 유효성이 입증된 백신 생산 세포주와 바이러스주를 확립하고 이를 이용해 고농도 세포 배양과 높은 생산성이 가능한 백신 공정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비임상시험을 통해 제조된 백신 효력을 평가할 예정이다. 백신 생산 시스템 기술 및 일회용 배양기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벨기에 유니버셀(Univercells)사는 이 연구에서 고효율 백신 생산 플랫폼 구축을 위한 공정 디자인, cost modelling 및 기술 지원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