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약업신문 게재
한국의 강점과 혁신을 활용해 국제보건을 위협하는 소외감염병 대응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국제보건 연구 지원 플랫폼 글로벌헬스기술연구기금 ‘라이트펀드’(RIGHT Fund)가 올해 새롭게 17개 연구에 대한 지원을 시작했다.
라이트펀드는 보건복지부와 빌앤멜린다게이츠재단, 한국 생명과학기업 8개사(SK바이오사이언스, LG화학, GC녹십자, 종근당, 제넥신, 바이오니아, 유바이오로직스, 에스디바이오센서)의 공동 출자로 형성된 기금을 한국의 우수한 보건의료 기술력을 활용할 수 있는 감염병 대응 기술 개발 연구에 투입하는 독특한 성격의 국제보건연구기금이다. 한정된 자원을 활용해 최대한의 효과를 이끌어내려는 민관협력 국제보건연구기금의 성공 전략에 따라 라이트펀드는 저개발국의 감염병 문제 해결에 한국의 강점과 혁신이 활용된 우수한 기술 개발 연구를 발굴해 지원한다.
올해 라이트펀드가 지원을 시작한 17개 감염병 기술 개발 연구 중에는 ‘모든 종류의 말라리아 원충을 한 번에 감별할 수 있는 AI 기반 말라리아 진단 All-in-One 플랫폼 개발 연구’가 있다. 노을이 주도하는 이 혁신적인 연구 프로젝트가 무엇이고, 그 결과물이 국제보건을 위해 어떻게 활용될지 노을 임찬양 대표를 만나 들어봤다.
△라이트펀드 지원으로 모든 종류 말라리아 원충을 한 번에 감별할 수 있는 AI 기반 말라리아 진단 All-in-One 플랫폼을 개발하는 것으로 안다. 어떤 연구인가.
-매년 40만명 이상이 사망하는 세계 3대 감염질환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인공지능(AI) 기반 새로운 말라리아 진단 플랫폼을 개발하는 연구다. 기존 말라리아 진단법보다 더 정확하고, 기존에 검출하기 어려웠던 말라리아 종류까지 구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진단 결과를 실시간 모니터링해 추가 감염을 조기 차단할 수 있는 감시 소프트웨어(Surveillance Software)를 포함하고 있어 진단과 방역을 통합한 말라리아 진단 솔루션으로 작동할 것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