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알의 약은 한 사람을 살리지만, 하나의 약 개발 기술은 만인 살려”
“라이트펀드, 한국 보건의료 기술력 활용한 최고의 ODA 지원방식”
청년의사 & Korea Biomedical Review 게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장을 역임한 손명세 전 연세의대 교수가 글로벌헬스기술연구기금 라이트펀드 제2대 이사장으로 취임했다.
라이트펀드는 세계 공중보건 증진을 목표로 한국 정부, 한국생명과학기업, 국제자금지원단체가 민관협력으로 2018년 7월 설립된 한국 거점의 국제보건연구기금이다. 개발도상국의 보건의료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의 보건의료 기술력을 활용한 신종 감염병 및 개발도상국 풍토성 감염병 대응에 필요한 백신, 치료제, 진단, 디지털 헬스 기술 R&D를 지원한다.
하지만 저개발국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해 글로벌 헬스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미래 기술 예측 능력은 물론 정부와 사회단체, 각종 민간과 공공분야 기구들과 파트너십이 있는 리더가 필요하다. 바로 그 적임자가 손명세 이사장이다.
아시아태평양공중보건학회(APACPH) 회장, 세계보건기구(WHO) 집행이사회 부의장, 유엔에이즈계획(UNAIDS) 특별보좌관, 유네스코 국제생명윤리위원회(IBC) 위원, 한국보건행정학회 회장, 보건복지부 장관 국제업무 특별자문관, WHO 국제보건규칙(IHR) 개정위원회 위원, 더 나은 미래를 위한 반기문 재단 운영위원 등과 같은 화려한 이력이 말해주듯 그는 40년 가까이 보건정책과 국제보건 분야에서 전문성을 다져왔다.
본지와 만난 그는 라이트펀드의 경우 R&D형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사업으로, 한국이 그동안 쌓아온 기술 역량으로 국격을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며 한국 의료의 국격을 높일 수 있는 뜻깊은 일이라 생각해 이사장 제안을 마다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 이사장 취임을 축하드린다. 이사장을 수락한 이유는 무엇인가.
라이트펀드의 초대 이사장이 그만둔 뒤, 후임 이사장으로 제안을 받았다. 40년 가까이 정부, 사회단체, 여러 민간 및 공공부문 기관들과 파트너십을 맺어온 경험 때문일 것이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쌓은 경험들이 라이트펀드를 통해 우리나라가 미래에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겠다 싶어 이사장 제안을 수락하게 됐다.
라이트펀드는 국제보건을 위해 한국의 강점과 혁신이 담긴 감염병 연구에 기금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그러나 솔직히 이런 기관이 국내에 있어야 한다는 생각은 많이 하면서도 여기에 자원을 배분해야 한다는 생각에는 사람들이 주저하는 것 같다. 이런 인식을 개선하는데 역할을 하고 싶다. 특히 한국은 국력에 비해 아직 국제 기여도가 적은 편이다. 라이트펀드는 R&D형 ODA 사업이다. 한국이 그동안 축적해온 기술 역량과 제품생산 능력 등 여러 가지 강점들은 나눠준다면 한국과 개도국 모두에 도움이 되고, 국내 보건의료의 격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라고 생각해 마다할 이유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