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 사업 :
제품개발연구비
제품개발연구비
중점 분야 :
백신
백신
지원 연도 :
2024
2024
과제 시작일 :
2024 / 12 / 17
2024 / 12 / 17
과제 완료일 :
2028 / 01 / 29
2028 / 01 / 29
과제 수행 기간(월) :
36
36
대상 질환 :
성매개 감염/ 항생제 내성
성매개 감염/ 항생제 내성
영향 지역 :
브라질, 필리핀, 태국, 나이지리아
브라질, 필리핀, 태국, 나이지리아
책임 연구 기관 / 책임 연구 기관 국가 :
한국과학기술원 (KAIST) / 대한민국
한국과학기술원 (KAIST) / 대한민국
공동 연구 기관 / 공동 연구 기관 국가 :
오상헬스케어 / 대한민국, 나노종합기술원 / 대한민국
오상헬스케어 / 대한민국, 나노종합기술원 / 대한민국
지원 단계 :
전임상검증
전임상검증
지원 약정 금액(원) :
2,160,000,000
2,160,000,000
한국과학기술원(KAIST)는 라이트 재단의 지원을 받아 저소득 및 중간소득 국가에서 성매개 감염증(STI)의 저진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초고속 저비용 qPCR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기존 PCR 검사는 비용이 비싸고 속도가 느리며 고급 실험실이 필요하여 신속한 치료 접근을 제한하고, 그 결과 불임, 임신 합병증, HIV 감염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한국과학기술원의 플랫폼은 초소형 qPCR 기기에 초고속 나노플라즈모닉 열순환 기술, 실시간 형광 정량 분석, 그리고 별도의 핵산 추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금속-플라스틱 일회용 카트리지를 통합하였습니다. 이 시스템은 20분 이내에 결과를 제공하여 STI 진단의 접근성과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매일 100만 건 이상의 STI가 새로 발생하며 저소득 및 중간소득 국가에서 질병 부담이 높은 상황에서, 이 신속한 현장진단 솔루션은 조기 감지와 치료를 가능하게 합니다. 진단 지연을 줄임으로써 STI 관련 질병부담(DALYs)을 낮추고, 생식 건강을 개선하며, 글로벌 STI 관리 노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