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기고]UN 조달시장 1% 불과한 ‘한국’, 국제공공보건시장에 주목해야

기고: 김보라 라이트펀드 프로그램 어소시에이트 “UN 조달 시장 1% 불가한 ‘한국’, 국제공공보건시장에 주목해야”
김보라 글로벌헬스기술연구기금 ‘라이트펀드’ 프로그램 어소시에이트

청년의사 & Korea Biomedical Review 게재

우리나라의 국제협력 의제 우선순위에서 국제보건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에서 한국의 우수한 대응 능력에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면서 국제보건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리더십을 발휘할 기회가 마련된 까닭이다.

우리나라는 건강을 인권의 한 요소이자 사회경제 발전의 필수 요소로 다각적 측면에서 강조해왔고, 특히 건강권 수호를 위해 글로벌 공공재에 전 인류가 공평하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는 데 초점을 맞춰왔다. 게다가, 우리나라는 코로나19 팬데믹 대응에 있어서 국제보건에 기여도가 높은 기술 혁신을 촉진하고 이에 부합하는 제품을 개발하는데도 역량을 발휘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보건 향상과 글로벌 공공재에 인류가 공평하게 접근하는데 기여할 한국산 제품들에 대한 공공조달 수요도 늘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보건을 위해 한국 산학연이 참여한 감염병 대응 기술 R&D를 지원하는 민관협력 국제보건연구기금 라이트펀드의 프로그램 어소시에이트로서 최근 카이스트 경영대학의 국제 입찰 및 해외공공조달 관리과정(IGMP)에 참여하며 이러한 예측은 내 머릿속에서 더욱 명확해졌다. 국제 입찰 및 해외공공조달 관리과정은 국제공공조달시장 입찰을 위한 민관 지도자 교육 프로그램이다. 라이트펀드 지원 연구 과제 관리를 맡고 있는 프로그램 어소시에이트로서 이 과정에 참여한 이유는 유니세프 같은 UN 국제보건조달기관의 맥락에서 공공조달 프로세스를 파악하기 위함이었다. 라이트펀드의 목적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신제품(백신, 치료제, 진단기기)을 개도국의 가장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닿을 수 있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제 입찰 및 해외공공조달 관리과정을 통해 확연히 인지한 사실 하나는 강력한 수출 주도 경제로 ‘GDP 세계 톱 10국가’ 반열에 오른 우리나라의 UN 국제보건조달시장 참여 비율이 현저히 낮다는 것이었다. 2019년 기준 UN 조달시장 규모는 199억 달러를 넘어섰으며, UN 조달시장에서 가장 큰 부문인 의약품, 피임약, 백신 시장 규모만 32억 달러에 달했다. 그러나 우리나라 UN 조달 규모는 같은 기간 총 2억2500만 달러로, UN 조달시장의 1.13%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