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마이크로니들 기술로 코로나19 DNA백신 투여기술 개발”

인터뷰: 백승기 쿼드메디슨 대표 “마이크로니들 기술로 코로나19 DNA백신 투여기술 개발”
[라이트펀드 감염병 지원사업7] 쿼드메디슨 백승기 대표

약업신문 게재

한국의 강점과 혁신을 활용해 국제보건을 위협하는 소외감염병 대응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국제보건 연구 지원 플랫폼 글로벌헬스기술연구기금 ‘라이트펀드’(RIGHT Fund)가 올해 새롭게 17개 연구에 대한 지원을 시작했다.

라이트펀드는 보건복지부와 빌앤멜린다게이츠재단, 한국 생명과학기업 8개사(SK바이오사이언스, LG화학, GC녹십자, 종근당, 제넥신, 바이오니아, 유바이오로직스, 에스디바이오센서)의 공동 출자로 형성된 기금을 한국의 우수한 보건의료 기술력을 활용할 수 있는 감염병 대응 기술 개발 연구에 투입하는 독특한 성격 국제보건연구기금이다.한정된 자원을 활용해 최대한의 효과를 이끌어내려는 민관협력 국제보건연구기금의 성공 전략에 따라 라이트펀드는 저개발국의 감염병 문제 해결에 한국의 강점과 혁신이 활용된 우수한 기술 개발 연구를 발굴해 지원한다.

올해 라이트펀드가 지원을 시작한 17개 감염병 기술 개발 연구 중에는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한 코로나19 DNA 백신 투여 기술 개발 연구’가 있다. 쿼드메디슨과 가천대가 공동 연구하는 이 프로젝트에 어떤 혁신 기술이 담겼고, 이 기술이 개발돼 국제보건 문제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쿼드메디슨 백승기 대표를 만나 들어봤다.

∆ 라이트펀드 지원으로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해 코로나19 DNA 백신 투여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어떤 기술인가.

– 코로나19 DNA 백신을 세포 내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마이크로니들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DNA 백신은 병원체 DNA를 세포 내 전달해 병원체에 대항할 수 있는 항체를 체내에서 만들게 한다. 기존 백신에 비해 안전하고 낮은 가격으로 빠르게 대량생산이 가능해 차세대 백신 플랫폼으로 평가되나, DNA를 세포 내 전달하는 것이 어려워 기존 백신에 비해 면역반응을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것이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으나, 현재 임상 단계에서 효능이 입증된 방법은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뿐이다. 전기천공법은 세포에 순간적으로 강한 전기장을 가해 세포벽에 일시적인 구멍을 만들어 DNA를 세포 안으로 전달하는 것인데, 현재 전기천공법에 이용되는 바늘 전극 크기가 커서 전기천공 과정 중 통증 및 경련이 일어날 수 있고 심한 경우 조직 괴사도 생길 수 있어 실용화에 어려움이 있다.

당사는 마이크로니들을 전극으로 이용해 낮은 전압으로 전기천공법을 실시함으로써 기존 바늘 전극 사용 시 발생하는 통증 및 조직 괴사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또, 마이크로니들 전기천공법에 나노 입자 제형 기술을 결합해 코로나19 DNA 백신의 세포 내 전달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쿼드메디슨은 마이크로니들 전극을 설계, 제작하고 마이크로니들 전극에 순간적으로 높은 전기장을 가해줄 수 있는 초소형 펄스 발생기(pulse generator)를 제작해 편의성을 높이고자 한다. 또, DNA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나노 입자 제형을 개발하고 세포 실험을 통해 그 효능을 검증할 것이다. 가천대가 공동연구기관으로 참여해 이 시스템과 나노 입자 제형을 결합해 현재 개발 중인 코로나19 DNA 백신 효능을 검증하며,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비임상 및 임상시험도 진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