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약업신문문 개제
한국의 강점과 혁신을 활용해 국제보건을 위협하는 소외감염병 대응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국제보건 연구지원플랫폼 글로벌헬스기술연구기금 ‘라이트펀드’(RIGHT Fund)가 올해 새롭게 17개 연구에 대한 지원을 시작했다.
라이트펀드는 보건복지부와 빌앤멜린다게이츠재단, 한국 생명과학기업 8개사(SK바이오사이언스, LG화학, GC녹십자, 종근당, 제넥신, 바이오니아, 유바이오로직스, 에스디바이오센서) 공동 출자로 형성된 기금을 한국의 우수한 보건의료 기술력을 활용할 수 있는 감염병 대응 기술 개발 연구에 투입하는 독특한 성격의 국제보건연구기금이다.
한정된 자원을 활용해 최대한의 효과를 이끌어내려는 민관협력 국제보건연구기금 성공 전략에 따라 라이트펀드는 저개발국 감염병 문제 해결에 한국의 강점과 혁신이 활용된 우수한 기술 개발 연구를 발굴해 지원한다.
올해 라이트펀드가 지원을 시작한 17개 감염병기술 개발 연구 중에는 한국 강점인 ICT기술이 융합된 ‘디지털 추적 기술을 활용한 코로나19 감염 위험 자가평가 앱 개발 연구’가 있다. KT와 모바일닥터가 함께 연구하는 이 연구 프로젝트에 한국의 어떤 강점 기술이 담겼고, 앞으로 이 기술이 어떤 방식으로 고도화돼 국제보건 문제에 활용될지 KT AI/DX융합사업부문 AI/BigData 서비스 담당 변형균 상무를 만나 들어봤다.(약업신문은 17개 과제를 인터뷰를 통해 시리즈로 싣는다,무순)
△ 라이트펀드 지원으로 디지털 추적기술을 활용해 코로나19 감염 위험 자가평가앱을 개발한다고 들었다. 어떤 연구인가.
-스마트폰앱을 통해 사용자의 과거 동선 데이터와 정부에서 공공에 공개하는 코로나19확진자 동선데이터를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해 개인의 코로나19 감염위험도를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다. 이 기술이 성공적으로 개발되면 코로나19 감염 위험도지표를 기반으로 감염이 예상되는 고위험군을 보건기관으로 유도해 추가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 2차 대유행 및 집단감염 발생시 코로나19 감염위험도 지표를 기반으로 감염예상 고위험군을 우선적으로 선별해 의료진, 진단키트 등과 같은 한정된 자원 을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 할 수 있다. KT가 이 연구 총괄연구책임을 맡아 연구를 주도하면서 코로나19 감염위험도 측정기술을 개발하고 있고,모바일 닥터가 스마트폰 앱페이지, UI(User Interface)/UX(User Experience) 디자인 개발을 맡고 있다.